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12

도쿄 우에노공원, 식사하며 꽃구경 가능해져 도쿄 우에노공원, 식사하며 꽃구경 가능해져 도쿄도의 우에노공원은 꽃놀이 계절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옵니다. 그러나 3년 전부터 우에노공원 등 도립공원에서 술을 마신다거나 식사를 하면서 꽃구경을 할 수 없었습니다. 신형코로나가 퍼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13일부터는 마스크를 할지 말지 스스로 결정하게 됩니다. 도립공원에서도 식사를 하면서 꽃구경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우에노 공원의 '벚꽃거리'는 많은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에, 이번달 13일부터 다음 달 16일까지는 할 수 없습니다. 도쿄 도는 "바이러스가 옮길 염려는 아직 있습니다. 손소독을 계속하며 주위 사람도 고려해 꽃구경을 즐겨주세요."라고 합니다. ☞ 우리보다 남쪽에 자리 잡은 일본은 벌써부터 꽃놀이 이야기가 나옵니다. 일본에서는 이번달 .. 2023. 3. 10.
여성의 사회활동 용이성, 주요 29개국 중 일본과 한국이 최하위 여성의 사회활동 용이성, 주요 29개국 중 일본과 한국이 최하위 영국의 경제지가 주요 29개국을 대상으로 한 여성의 '사회활동 편이성(?)' 순위를 발표했습니다. 일본은 최하위로부터 두 번째인 28위였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3월 8일 '국제여성의 날'에 맞춰 남녀의 임금격자 및 여성의 노동참가율 등 10개 지표를 평가한 국가별 순위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중 일본은 노동참여율에 있어서 적은 남녀격차와 낮은 육아비용 등, 4개의 지표에서 평균을 상회했지만, 기업의 관리직이나 의회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29개 국가 중 가장 적은 점 등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최하위는 한국입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이나 한국 등 순위가 낮은 나라들에서는, 여성은 여전히 가정 또는 직업의 선택을 강요당하고 있다... 2023. 3. 9.
스위스 초콜릿이라 불릴 수 없게 된 토블러로네 스위스 초콜릿이라 불릴 수 없게 된 토블러로네 세계 100여 개국에서 스위스 초콜릿으로 친숙한 '토블러로네' 패키지에서, '스위스제'라는 표기와 심벌이었던 '마터호른' 산의 마크가 사라집니다. 토블러로네는 벌꿀과 아몬드 누가가 들어간 산 모양의 초콜릿 과자입니다. 제조사인 미국 식품 대기업 '몬델리즈'가 제조 거점의 일부를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치스라바로 옮기는 것을 결정했기 때문에 패키지의 변경이 필요해졌습니다. 몬델리즈의 홍보에는, "제조 거점을 변경하게 되어서, 스위스의 법률을 따라 패키지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하며, 스위스제라는 표시를 중단하고 '스위스에서 설립'이라는 표시로 변경했음을 밝혔습니다. ☞ 한번 먹기 시작하면 끊기 어려운 음식 중 하나가 초콜릿이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토블론.. 2023. 3. 8.
메타, VR단말기 신기술 보급 위해 가격인하 메타, VR단말기 신기술 보급 위해 가격인하 미국 메타가 가상현실 단말기 2 기종을 가격인하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가격인하로 인해 자사의 장래를 건 신기술의 보급을 목표로 합니다. 메타의 발표에 의하면, 상위 기종인 '퀘스트 프로'의 가격을 999달러(약 13만 5천엔)로 약 500달러 인하합니다. 저렴한 가격대의 퀘스트 2에 대해서도 429.00달러로 인하합니다. 퀘스트 2의 가격인하는 미국을 포함한 10개국 이상에서 5일부터 실시됩니다. 퀘스트 프로의 가격인하는 미국 및 캐나다에서는 동일하게 5일부터입니다. 그 외 국가에서 퀘스트 프로의 가격인하는 15일부터입니다. ☞ 가상현실(VR) 시장도 미래의 먹거리를 위해 사활을 거는 느낌입니다. 비싸다고 말이 많았던 메타의 VR 기종들이 가격인하에 들어가네요.. 2023. 3. 7.
일본의 빈집 문제, 거주 안 하면 세금 혜택 줄여 일본의 빈집 문제, 거주 안 하면 세금 혜택 줄여 거주 목적이 없는 빈집이 증가하는 가운데, 일본 정부는 빈집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법안을 각의 결정했습니다. 이제까지는 주위에 눈에 띄게 악영향을 끼치는 '특정 공가(빈집)'가 고정재산세의 경감대상으로부터 제외되어 왔지만, 3일에 각의 결정한 특별조치법에서는, 관리가 불충분해 방치하면 붕괴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부동산) 물건을 '관리부전 공가'로서 제외 대상으로 합니다. 지자체가 관리부전으로 판단한 경우, 수선 및 정원수 벌채 등의 대책을 소유자에게 지도합니다. 또 빈집의 활용을 장려하는 구역을 마련해 재건축 등을 촉진합니다. ☞ 집은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인데, 인구가 줄어가는 곳에서는 거주하는 사람 없이 빈집만 방치되는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2023. 3. 6.
반응형